강화도 귀농이야기

인천만 조력발전 논란 재점화

강화신한 2012. 4. 27. 16:27

인천만 조력발전 논란 재점화
건립찬성 주민, 추진협의회 발족 반대표명 송 시장 압박
2012년 04월 27일 (금)

그동안 총선 등으로 수면 밑에 가라앉았던 인천만조력발전의 찬반 논란이 본격화됐다.
<관련기사 7면>

송영길 인천시장의 '반대' 입장에도 발전소 찬성 주민들은 관련 단체를 구성해 송 시장을 압박하고 있다.

김선흥 전 강화군수와 영종도·장봉도 등의 발전협의회 회장 및 관계자들은 26일 '인천만조력발전소유치추진협의회'를 발족하고 정치적 부담으로 총선 전까지 잠잠하던 사업 추진 요구에 나섰다.

이들은 이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만조력사업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고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선택할 수 있는 최상의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이라며 사업 추진을 주장했다.

 

 

강화신한부동산  032-933-3004

또 "강화지역의 새로운 접근로가 생기고 옹진군 일부 도서지역 연륙화로 낙후된 인천북부 지역의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절호의 기회"라며 "주민 대다수가 인천만조력발전사업을 찬성하고 있는 만큼 반대를 위한 반대로 일관하는 일부 소수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받은 2만 1천435명의 주민 찬성 서명을 중앙정부에 제출하는 등 시를 압박할 방침이다.

여기에 인천만조력발전소의 건설 필요성이 주된 내용인 탄원서를 함께 제출하는 등의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6월 송 시장의 '반대' 입장표명 후 입장차가 없다.

송 시장은 당시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으로 지역주민의 의사가 무시되고 자연생태계에 심각한 훼손이 예상된다"며 "조력발전사업은 전력생산 등 실익에 비해 갯벌손실, 수질오염, 홍수통제 기능상실 등 손실이 더 크다"며 정부의 사업 시도에 반발 의견을 냈다.

지난 2010년 6월 동시지방선거 당시 송 시장과 야권연대는 '인천만조력발전소 건립 반대' 등 88개 정책협약을 맺었다.

송 시장은 이후 "정책협약을 맺었지만 본인이 직접 반대한다고 말한 적 없다"는 모호한 입장을 나타내다 야권연합의 반발과 시민·사회단체의 거센 항의로 지난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 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과 GS건설이 총 3조 9천억 원을 들여 인천 영종도-장봉도-강화도를 방조제로 연결하는 발전용량 1천320㎿ 규모의 조력발전소 건설 사업이다.

인천시는 지난해 4월 민관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환경 영향과 주민 피해에 관한 철저한 검증을 요구하며 관계 부처에 사업 중단을 요구해왔다.

건설계획은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심의를 거치고 국토해양부의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돼야 사업 추진의 토대를 갖추게 되지만, 지난해 6월 서류 미비 등의 이유로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은 후 더 이상의 추진은 되지 않고 있다.

/장지혜기자 jjh@itimes.co.kr